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사회 속의 개인 심리(4) 사회적 동물인 우리 인간. 지난 시간에는 목소리와 쳐다보기 등 비언어적 정보에 따른 대인지각의 차이에 대해 마무리해 보았고, 귀인이론의 대응추리이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목소리에 따라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인상이 달라지고, 쳐다보기 등 나의 시선 행동에 따라 인식이 달라지게 되었지요. 대응추리이론은 조건에 따른 한 사람의 행동에 따라 그 사람이 어떠한 성향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오늘은 귀인이론에 대해 마무리로 알아보고 귀인이론의 오류와 편향에 대해서도 추가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사회 속의 개인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고, 소화하고 느끼게 될까요?. 오늘도 Let's go!! 공변원리. Kelley(1967)는 귀인의 과정을 공변원리로 개념화하였다. 이때 공변이란 특정 원.. 2024. 3. 10.
사회 속의 개인 심리(3) 사회적 동물인 우리 인간. 지난 시간에는 초두효과와 최신효과, 비언어적 정보에(얼굴 등) 따른 대인지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초두효과는 첫인상의 중요성을 다루었고, 반복적으로 다량의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정보가 주어져야 첫인상이 바뀔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오늘은 대인지각에 대해 마무리로 알아보고 귀인이론에 대해서도 추가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사회 속의 개인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고, 소화하고 느끼게 될까요?. 오늘도 Let's go!! 목소리. 각 개인의 목소리는 독특한 비언어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그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우선, 목소리의 매력에 대한 한 연구에서(Zukerman & Miyake, 1993) 단조롭거나 비음이 큰 목소리일수록 매력이 낮고 목소리의 크기.. 2024. 3. 9.
사회 속의 개인 심리(2) 우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죠. 지난 시간에는 대인지각, 범주화, 내현성격이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인지각은 다른 사람에 대한 인상 형성을 지칭하는 개념이었고, 범주화는 상대방의 성격 특성을 추론한 다음, 필요하면 의도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찾아 처음의 인상을 조정해 가는 과정이었습니다. 내현성격이론은 중심 특질을 바탕으로 동일 인물에 대해 두 가지 다른 중심 특질을 가지고 판단하였을 때 나타나는 차이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내현성격이론은 다른 말로 하게 되면 평판과 비슷한 의미가 되겠네요. 오늘도 사회 속의 개인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고, 소화하고 느끼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Let's go!! 초두효과와 최신효과. 우리가 상대방에 대한 인상을 형성할 때, 그가 제공하는 모든 .. 2024. 3. 9.
우리를 움직이는 신경전달물질(4, 최종) + 사회 속의 개인 심리(1) 지난번에는 우리를 움직이는 신경전달물질 중 아미노산류의 글루타메이트, GABA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글루타메이트는 뇌와 척수에서 주요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을 흥분상태(활성화)시키고 있었습니다. GABA는 뉴런의 활성화 억제를 통해 발작(간질) 등의 현상의 발생을 막는 중요한 물질이었습니다. 오늘도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의 족쇄가 될 수도 큰 조력자가 될 수도 있는 신경전달 물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잘만 활용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가진 100%를 활용하여 과거 돛단배의 순풍이 불어 도와주듯, 더 높은 곳을 향해 순항할 수 있을 것이에요. 오늘도 Let's go!! 아미노산류의 신경전달물질 글라이신 글라이신(glycine). 글라이신은 척수와 뇌의 하부에서 발견되는 억제성 신경.. 2024. 3. 9.